본문 바로가기

영화 리뷰

[영화 리뷰] 나, 다니엘 블레이크 - 차가운 사회에 던지는 외침(결말 포함)

※ 영화를 보지 않은 분들에게는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니 주의 부탁드립니다.

 

 

나, 다니엘 블레이크(I, Daniel Blake, 2016)


 

 

아내와 사별하고 심장병으로 목수 일을 쉬고 있는 '다니엘(데이브 존스)'.

그는 생계를 위해 질병 수당을 신청하지만 근로 능력이 있다고 나오는 바람에

일을 하지도 쉬지도 못하는 상황이 된다.

재심을 신청하려고 하지만 관공서에서는 절차만을 따지며 다니엘의 이야기를 들어주지 않고,

다니엘은 점점 지쳐가지만 우연히 만난 싱글맘 '케이티(헤일리 스콰이어)'와

그녀의 아이들 데이지, 딜런을 도와주기 위해 애쓴다.

 

다니엘은 외롭지만 따뜻한 사람이다.

본인도 여유롭지 않지만 주변을 챙기려고 노력하고, 자신의 신념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지 않으려 노력한다.

하지만 1시간 넘도록 받지 않는 콜센터, 찾아가도 냉대만 하는 관공서, 할 줄 모르는 인터넷 신청은 그를 지치게 한다.

(콜센터 연결음이 우리와 똑같아서 소름이었다... 전화해 본 사람은 정말 공감 100)

 

그런 와중에도 타지에서 온 케이티를 도와주기 위해 애쓰고,

데이지와 딜런이 외롭지 않게 해주기 위해 계속 말을 건다.

데이지와 딜런도 다니엘의 따뜻한 마음에 점차 나아지고, 그를 따르지만

그럼에도 다니엘과 케이티의 상황은 점점 더 안 좋아지기만 한다.

 

다니엘은 관공서에서 자신을 유일하게 도와주고 따뜻하게 응대해 주던 직원에게 말한다.

자존심을 잃으면 모두 잃는 거라고.

그는 생계가 막막하지만 거짓된 구직 활동으로 시간을 낭비하고 일할 수 있다고 거짓말하는 것이 더 괴롭다.

 

그는 관공서 벽에 자신의 질병 수당 재심을 해줄 것을 요구하는 낙서를 하고,

이를 지켜보던 시민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지만 경찰에 잡혀간다.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이 마치 나에게까지 전해지는 것만 같았다.

 

 

케이티 역시 생활고에 지쳐 마트에서 절도를 하다 걸리고,

데이지의 신발을 사주기 위해 남자들을 만나는 일을 하게 된다.

다니엘은 아직 젊고 기회가 있는 케이티가 무너져 내리는 것이 안타깝기만 하지만

그도 그녀를 더 이상 도울 방법이 없다.

괜찮을 거라고 말해주는 것 말고는.

 

다니엘의 질병 수당 재심사 날.

다니엘은 케이티와 함께 담당자에게 긍정적인 답변을 받지만 화장실에서 쓰러져 심장마비로 생을 마감한다.

그의 장례식에는 그를 사랑했던 이웃, 직장 동료들이 참석하고

케이티는 다니엘을 대신해 그가 재심 때 이야기하려고 써놓았던 글을 읽는다.

나는 묵묵히 책임을 다해 떳떳하게 살았습니다.
...
그렇기에 내 권리를 요구합니다.
나는 한 명의 시민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영화를 보면 화가 난다. 왜 평생을 열심히 살아온 사람들에게,

그리고 열심히 살려고 노력하는 사람에게 더한 잣대를 대는 건지.

그놈의 절차 타령에 나까지도 신물이 날 정도다.

 

무엇보다 자신의 일을 사랑하며 열심히 살았던 다니엘의 자존감을 무너뜨리고 절망에 빠지게 하고,

결국 죽음에까지 이르게 하는 모든 상황이 한탄스러웠다.

 

이 영화는 2016년 작품이지만 지금이라고, 우리나라라고 다르지 않을 것이다.

나 역시도 절차를 따르며 일을 해야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지만 마음이 답답하고 슬퍼지는 영화였다.

반응형